Skip to main content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Microphone), 줄여서 마이크라고 부르는 장치는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센서의 일종입니다.

다이나믹 마이크

다이나믹 마이크

위 마이크는 슈어(SHURE)사의 마이크 슈어57(왼쪽), 슈어58(오른쪽) 마이크입니다. 다이나믹 마이크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해 음향신호를 만들어 냅니다. 소리의 진동이 코일 주변의 자석을 움직이고 코일 내에서 전기신호를 생성해냅니다.

콘덴서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는 캐패시터에의하여 구동되는 마이크입니다. 다이어프램(Diaphragm)과 전극판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되면 축전체에 전압변화가 발생합니다. 이 전압변화로 소리신호를 만들어냅니다. 축전체를 충전하고 필요한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구동전압(팬텀 파워)을 반드시 넣어야 합니다.

덕분에 다이나믹 마이크에 비해 폭 넓은 주파수 응답 번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무선 마이크

무선 마이크

무선 마이크는 유선 마이크와 달리 전파를 통해 음성 신호를 전달하므로, 마이킹 뿐만 아니라 주파수 배분에 신경써서 주파수가 겹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주파수가 겹칠 경우 주파수 간섭에 의해 잡음 발생 또는 신호전달이 안될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무선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허가,신고 없이 사용 가능한 대역 : 70MHz 대역, 170MHz 대역, 200MHz 대역, 900MHz대역 허가를 받아 사용 가능한 대역 : 470~698MHz대역

2021년부터 700MHz대역 무선마이크는 단속 대상입니다.

마이크 홀더의 종류

마이크 홀더 종류

핀마이크는 집게형, 혹은 자석형으로 고정을 합니다. 생방송을 진행할 경우 주/예비 구성을 위해 2핀형을 사용합니다.

생방송에서는 무선마이크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을 때를 고려하여 두개의 마이크를 사용하는 다른 주파수대역을 사용합니다.

마이크 홀더 고정방법

마이크 홀더 고정방법

  1. ①번 표시된 구멍에 마이크를 넣습니다.

  2. 마이크 라인을 집게를 열어 집게 속 구멍인 ②번에 라인을 넣습니다.

  3. 마지막으로 ③번 부분에 마이크 라인을 고정하여 최종 정리합니다.

지향성

diversity01

보편적으로 통신을 공부한 학부생의 경우, 안테나가 신호를 어떠한 방식으로 송신하는지를 뜻하지만, 신호가 어떻게 수음되는지를 나타내는 것 역시도 지향성이라 합니다.

즉, 마이크에 있어서 지향성이란 사람이 말을 할 때, 마이크에서 수음 할 수 있는 공간의 범위를 뜻합니다.

diversity02

마이크는 특성에 따라 지향성이 각기 다르고, 그러한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좋은 음향을 수음할 수 없으므로, 음향 엔지니어는 이러한 점을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위 그림의 3번째 콘덴서 마이크처럼 마이크 바로 위는 수음을 하기 적절하지 않은 지향성을 갖고 있으니 마이크 지향성을 숙달하여 소리를 수음하는 방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마이크 지향 특성 확인법

diversity03

위 그림은, SM58 마이크 매뉴얼 중 일부입니다. 마이크가 가진 지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Polar Pattern’ 혹은 ‘Directional Characteristics’라고 명시되어 있는 부분을 확인해야 하며, 우측에 써 있는 Cardioid는 해당 마이크가 가지고 있는 지향성을 의미합니다.

diversity04

이번엔 컨덴서 마이크중 하나인 AKG C414-XLS입니다. 앞의 다이나믹 마이크가 가지고 있던 특성과는 달리, 콘덴서 마이크는 복수의 지향성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향 특성을 바꿀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ARDIOID(단일지향성)

cardioid01

위 그림은, 단일 지향성을 가진 마이크의 특징을 나타낸 것으로, 대부분의 다이나믹 마이크는 단일 지향성의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마이크의 특징이자 단점은 마이크와 가까울 수록 마이크의 저 음역대의 주파수 특성이 상승하는 현상(근접효과)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가수가 노래를 부를 때 보면 입술을 마이크에 대고 부를때 저음역대가 강조되어 들린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ardioid02

위 그림은 CARDIOID의 발전형태인 SUPER CARDIOID 지향성입니다. 마이크 헤드쪽 지향성이 넓을 뿐 아니라, 헤드의 반대 방향에도 지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PA를 크게 하는 공연장의 경우, 음향 엔지니어 입장에서는 좌측과 같은 마이크보다는 지향성이 좀 더 예민한 CARDIOID 마이크를 선호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PA 소리가 다시 마이크로 타고 들어가 하울링이 나는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OMNIDIRECTIONAL(무지향성)

cardioid01

말 그대로 지향하는 방향이 없는 완전한 원의 모습을 띄고 있는 지향성입니다. 무지향성 마이크는 어느 위치에서나 동일한 수음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핀 마이크의 경우가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모든 안테나에 완벽한 무지향성이란 없으므로 마이킹을 고려할 때에는 마이크 헤드와 출연자의 입이 맞는 부분에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BIDIRECTIONAL(양지향성)

BIDIRECTIONAL

컨덴서 마이크에서 주로 활용할 수 있는 8자형 양지향성입니다. 두 사람이 양 쪽에서 노래를 같이 녹음해야 할 때, 혹은 두 가지 악기의 음원을 동시에 녹음받아야 할 경우 사용됩니다.